네트워크

· 네트워크
DNS(Domain Name System) 개요 - 인터넷상의 숫자 기반 IP주소를 쉽게 기억하도록 만든 문자기반의 이름 체계 - 도메인 네임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 초기에 host 파일 기반으로 관리하던 것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일종의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 도메인 각 계층 별로 네임서버를 두고 분산해서 도메인 정보를 관리하기 때문 www.naver.com. 마지막에 '.' 최상위 루트 도메인이 있는데 보통 생략함 1차 레벨 도메인 == Top Level Domain => TLD 일반 최상위 도메인:gTLD(general) 국가코드 최상위 도메인: nTLD(national), ccTLD(country code) root 네임서버 ⬇ 1차 레벨 도메인의 네임서버주소 1차레벨 도메인..
· 네트워크
1. 프록시 서버 프록시 서버란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대리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프록시(proxy)라고 하고, 프록시서버(proxy server)는 그 중계 기능을 하는 서버를 말한다. 프록시 서버는 어떻게 사용될까 클라이언트가 웹사이트 주소를 입력해 접속을 하려고 한다. 프록시 서버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직접 서버에 요청하겠지만 프록시 서버를 이용한다면 프록시서버가 클라이언트를 대신해 서버에 요청하고 응답을 처리해준다. 프록시 서버 사용 시 이점 1. 속도 향상 프록시는 프록시 서버에 요청된 내용들을 캐시를 이용해 저장한다. 캐시 안에 있는 정보를 요구하는 요청에 대해서는 다시 데이터를 가져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송 속도를 절약할 수 있다. 2. 약한 보안 프록시가 중간에서 대신 요청과 응답을 처..
codename_JEN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글 목록